본문 바로가기

임신·난임 _ 닥터피셜/임신·난임 닥터피셜

고령 여성과 난임의 관계! 어떤 관계가 있을까요?

1. 고령 난임 해당 여성의 기준

난임은 생물학적으로 피임을 시행하지 않은 부부가 정상적인 부부관계에도 불구하고 1년 이내에 임신이 되지 않는 경우를 말해요. 가임 여성의 연령은 만 15~49세 사이의 여성인데요. 의학적으로 35세 이상의 여성은 가임력이 급격히 감소하게 되는데, 35세 이상의 기혼 여성이 6개월 이상 피임을 하지 않아도 임신이 되지 않을 시에는 고령 난임 여성에 해당이 되어요. 그리고 과거에 건강한 아이를 출산하였지만 35세 이상 피임 없이 6개월 이상 임신을 노력하였지만 임신이 되지 않은 여성도 이차성 난임에 해당된답니다.

 

 

2. 나이와 임신의 관계

사람의 신체는 점점 나이가 들면서 노화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때 여성의 난자도 예외는 아닌데요. 정자를 생성해 내는 남성과 달리 여성은 평생 동안 사용하게 될 1~2백만 개의 난자를 가지고 태어나는데, 이 난자는 다시 재생산이 되지 않으며, 나이가 들면 난자의 수가 줄어들게 되기 때문이에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보유하고 있던 난자 수의 감소와 오랫동안 분열이 멈추어 있던 난자가 배란되면서 염색체 이상의 빈도가 증가하게 되는데, 이는 착상률을 낮추기 때문에 여성의 나이와 임신에는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말할 수 있어요.

 

 

 

남성도 난임의 원인이 될 수 있어요

남성의 경우, 정자를 새롭게 생성한다는 점에서 여성과 다를 수 있지만, 여러 가지 복잡한 원인에 의해 정자의 운동성이나 양 등이 떨어질 수 있어요. 그렇기 때문에 여성의 난소기능이 정상적이라고 해도 남성 정자 문제로 인해 임신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답니다. 난임 검사 시에는 부부가 함께 전문병원에 내원하시어 난임 검사 및 진료를 받는 것이 좋아요.

 

 

 

3. 고령 난임에 해당된다면?

현대 사회에서 결혼 시기, 출산 시기가 늦춰지면서, 자연스럽게 고령 난임 환자의 비중이 늘고 있어요. 난임 치료는 미리 원인을 정확하게 밝혀내는 것과 치료받는 시기가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임신을 준비 중이시라면, 자연 임신 시도를 오래 하기보다는 임신 계획 단계에서부터 난임 검사나 진료, 치료가 가능한 전문병원에 내원하여 난임 검진 후 임신 계획을 세우는 것이 좋아요. 또한, 아무리 여성의 난소 기능은 개개인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만 35세 이하의 여성이라도 임신 준비 시, 미리 난소 관련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