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부정출혈이란?
정상적인 생리는 22일~38일 주기로 발생하며 9일 미만 지속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정상적인 생리 기간을 벗어나 출혈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이를 바로 부정출혈이라고 해요. 정상적인 생리는 배란이 되고, 배란 14일 이후 발생하는 출혈이지만, 부정출혈은 배란이 되지 않아도 다른 여러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 출혈이 발생하는 경우에요. 일정한 생리 주기가 아닌 시기에 배출되는 출혈은 여성의 자궁 이상을 알리는 신호일 수 있기 때문에 부정출혈이 발생 시, 자궁과 난소의 건강을 살펴볼 필요가 있어요.
2. 부정출혈 분류
부정출혈은 원인에 따라 분류를 다르게 할 수 있는데요. 기질성 자궁출혈과 지능성 자궁출혈로 분류할 수 있어요. 기질성 자궁출혈은 여성의 자궁 내 병변 또는 무배란을 일으키는 질환에 의한 출혈인데요. 대표적으로는 다낭성 난소 증후군, 자궁 내막염, 자궁근종, 자궁경부암, 자궁경부 악성 종양 등이 있어요. 기능성 자궁출혈은 여성 호르몬 불균형에 의한 출혈인데요. 심한 스트레스를 받거나, 피로 누적, 다이어트 등의 이유로 인한 급격한 체중 변화, 약물복용 등으로 호르몬 불균형을 일으킬 수 있어요
3. 부정출혈 원인
(1) 배란 장애 및 배란기 출혈
부정출혈의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대표적으로 배란 장애, 배란기 출혈, 자궁 내 병변, 호르몬 불균형, 기타 기저 질환이 있어요. 배란 장애에서 배란이 어려운 경우는 여성의 난소 기능 저하나 다낭성 난소 증후군, 폐경기 여성, 초경을 시작한 지 3년 이하의 여성이 해당될 수 있어요. 무배란성 출혈과는 반대로 배란기에도 출혈이 보일 수 있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배란기 출혈이라고 해요. 배란기 출혈은 호르몬의 변화로 인해 일시적으로 출혈이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에 큰 걱정은 하지 않으셔도 되어요.
(2) 자궁 내 병변
자궁근종이나 자궁내막증, 자궁선근증 등 여성의 생식기계 질환도 부정출혈의 원인이 될 수 있는데요. 평소 아랫배 통증이 심하거나 월경량의 변화가 있다면 전문병원에 방문하시어 정확한 초음파 검사를 통하여 자궁이나 난소의 이상 유무를 확인해 주는 것이 좋아요.
(3) 호르몬 불균형
평소 심한 스트레스나 피로 누적, 다이어트로 인한 급격한 체중의 변화, 스테로이드 제제와 같은 약물 사용 등으로 인해 호르몬의 밸런스가 무너져 부정출혈이 나타날 수 있는데요. 특히 피임약을 복용 중이신 여성분들의 경우라면 부정출혈 증상을 더 많이 경험할 수 있는데요. 피임약은 일정한 시간에 복용을 하지 않으면 소량의 부정출혈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에요.
(4) 기타 기저 질환
여러 호르몬 불균형이나 다른 자궁 관련 질환뿐만 아니라 기타 기저 질환들도 부정출혈의 원인이 될 수 있어요. 갑상선 기능 항진이나 저하증, 당뇨와 같은 내분비 질환, 혈액 응고 장애와 같은 질환 등도 여성 부정출혈의 원인이 되기도 해요.
4. 부정출혈 치료법
위에 언급 드렸듯이, 부정출혈은 기질성 자궁출혈과 기능성 자궁출혈로 분류가 나누어지는데요. 기질성 자궁출혈의 경우라면 자궁근종이나 자궁선근증과 같은 부정출혈의 원인이 되는 질환을 치료하는 것이 필요하고, 기능성 자궁출혈의 경우라면 생활습관을 개선하거나 경구피임제 등의 호르몬제 치료를 시행해요. 부정출혈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전문 의료진과의 충분한 상담과 정밀한 검사가 필요하기 때문에 부정출혈의 증상이 나타난다면 분당제일여성병원에 방문하시어 정확한 검사와 진료를 받아보세요.
'임신·난임 _ 닥터피셜 > 임신·난임 닥터피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하게 임신 계획중이신 부부들이라면 필독! (0) | 2021.08.03 |
---|---|
자연유산과 습관성 유산, 정확하게 알아가요! (0) | 2021.08.02 |
조기 난소부전도 임신이 가능할까요? (0) | 2021.07.01 |
임신 준비, 난자 채취 이후 도움되는 영양제는? (0) | 2021.06.09 |
신선배아, 동결배아 차이가 무엇인가요? (0) | 2021.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