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임신·난임 _ 닥터피셜/임신·난임 닥터피셜

신선배아, 동결배아 차이가 무엇인가요?

1. 배아 이식이란?

배아 이식이라는 말은 많이들 들어보셨을 텐데요. 배아 이식은 시험관 아기 시술의 마지막 단계로, 채취된 여성의 난자와 남성의 정자를 수정시키고, 자궁과 비슷한 환경에서 배아를 3일~5일 정도 배양시킨 후, 여성의 자궁 내로 이식해 주는 과정을 배아 이식이라고 해요. 배아 이식은 신선배아와 동결배아 이식 등 배양의 기간과 이식 방법이 다른 배아 이식 방법들이 있어요. 지금, 분당제일여성병원 난임센터 닥터피셜에서 신선배아와 동결배아의 차이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2. 신선배아와 동결배아

배아 이식 방법 중에 신선배아와 동결배아 이식 방법이 있는데요. 신선배아 이식 방법은 난자를 채취한 이후 해당 시술 주기에 맞춰 바로 배아를 이식하는 방법을 신선배아 이식이라고 해요. 동결배아 이식 방법은 배양된 배아를 바로 이식하지 않고 동결해두었다가, 원하는 시점에 해동하여 이식하는 방법을 동결배아 이식 방법이라고 해요. 동결배아 이식 시 배아를 동결해두는 이유는 주로 이식 후 남은 배아가 있는 경우에 동결을 해두며, 추후 임신을 원하는 시기가 있거나 착상 전 유전검사를 해야 하는 경우, 배아의 세포 분열 속도가 느린 경우, 자궁내막 상태가 착상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 난소 과자극 증후군에 따른 합병증이 우려되는 경우에 동결배아 이식을 시행해요.

 

 

 

3. 배아 착상전, 자궁내막 상태

배아 이식을 위한 난자를 채취하기 전에는 혈액 검사를 통해 프로게스테론 호르몬 수치를 확인하는데요. 난자 채취를 위한 과배란 유도는, 여성의 난자를 여럿 키워 채취함으로써 좋은 배아를 선별하고 획득하기 위함인데요. 하지만, 난포가 여럿 자라다 보면 난포에서 생산하는 프로게스테론과 에스트로겐 수치가 자연주기보다 높아지면서 오히려 이것이 착상력을 저하 시킬 수 있어요. 실제로 프로게스테론 호르몬 수치가 과도하게 증가한 경우에는 자궁내막의 착상력을 결정하는 자궁내막의 세포와 조직의 상태도 달라지고, 유전자 발현도 변화하기 때문에 착상 및 임신 성공률, 임신 유지율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요. 따라서 이럴 경우에는 신선배아 이식 방법보다는 동결배아 이식 방법으로 전환하면 더 높은 임신 성공률을 기대할 수 있어요.

 

 

 

4. 난소 과자극 증후군

난소 과자극 증후군이란 난자 채취를 위한 과배란 유도로 인해 난소가 과하게 자극되어 복수가 차고, 혈전 성향이 높아지는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것을 말해요. 난소 과자극 증후군은 과배란 유도 환자의 약 5% 정도에서 나타나는데요. 만약 임신이 된다면 융모막 호르몬인 HCG로 인해 난소 과자극 증후군 증상이 더욱 심해지기 때문에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 배아를 동결 보존하여 증상을 호전시킨 이후 배아를 이식하는 동결 배아 이식 방법을 시행해요. 난소 과자극 증후군 발병 시, 동결배아 이식 방법을 시행해야만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기 때문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