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조기 난소부전이란?
여성의 난자는 평균적으로 만 45세에서 58세 사이에 기능을 하지 못하는 난자만이 남아 폐경기에 도달하는데요. 조기 난소부전이란 만 40세 이전에 폐경과 유사하게 여성의 난소 기능이 정지되는 것을 말해요. 조기 난소부전은 호르몬의 작용으로 인하여 일반적인 폐경과 거의 유사한 증상을 보여요. 요즘에는 늦은 결혼과 출산, 기저질환, 호르몬의 영향 등으로 인해 임신이 어려운 난임을 겪고 있는 분들이 많아졌는데, 뜻밖의 조기 난소부전으로 인해 난임을 겪고 있는 경우도 적지 않게 찾아볼 수 있어요.
2. 조기 난소부전의 원인과 진단 기준
난임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조기난소부전의 진단 기준으로는 만 40세 이전에 6개월 이상 생리를 하지 않거나, 4주 이상 간격으로 2회 정도 측정한 난포자극호르몬의 수치가 높을 경우 조기난소부전으로 진단될 수 있어요. 대부분 조기 난소부전의 원인은 여성의 난포가 고갈되어 발생하거나 드물게는 호르몬의 이상으로 여성의 난포가 더 이상 성장하지 않아 발생할 수 있어요. 또한, 유전적인 요인이나 자가면역질환, 항암치료, 난소 수술, 흡연 등이 조기 난소부전의 원인으로 꼽히고 있어요.
3. 조기 난소부전의 증상
조기 난소부전은 호르몬의 영향으로 인해서 일반적인 폐경과 유사한 증상을 보이는데요. 대표적으로는 월경 중단이 있어요. 만 40세 이전에 6개월 이상 월경이 중단되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초기에는 월경이 불규칙해지다가 몇 달에 한 번씩 월경을 하게 되고, 결국 월경이 수개월 이상 중단되어요. 또한 에스트로겐 호르몬의 부족으로 인해 야간 발한이나 안면홍조, 두통 등 혈관운동장애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질 건조감, 성욕 감퇴 등 생식기 계통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답니다. 만약 조기 난소부전을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게 된다면 에스트로겐 호로믄의 부족으로 인해 심근경색이나 골다공증, 뇌졸중 등의 합병증의 위험이 높아질 수 있으니 폐경 증상이 나타나거나 월경에 이상이 생긴다면 전문병원에 방문하시어 정확한 검사와 호르몬 치료를 진행해 주세요.
4. 조기 난소부전 임신 가능성
조기 난소부전은 폐경과는 다르게 조기난소부전 진단 후에도 간헐적으로 배란이 되기 때문에 월경이 다시 시작될 수 있으며, 낮은 확률로 자연 임신이 되기도 해요. 여성 난소의 기능이 돌아올 수 있는 상태라는 전제를 두었기 때문에 ‘조기 난소부전’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는데요. 이처럼 조기 난소부전의 경우여도 난소의 기능이 간헐적으로 회복되어 임신이 될 수는 있으나, 자연임신이 될 가능성은 희박하기 때문에 난임 전문의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아요. 에스트로겐 치료나 과배란 유도를 통하여 임신을 시도할 수 있고, 어려운 경우라면 시험관 아기 시술을 고려할 수 있어요. 조기 난소부전이지만 임신을 기다리시는 분들은 분당제일여성병원 난임센터에 방문하시어 난임 전문의와 상담을 진행해 주세요.
'임신·난임 _ 닥터피셜 > 임신·난임 닥터피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연유산과 습관성 유산, 정확하게 알아가요! (0) | 2021.08.02 |
---|---|
임신 준비, 배란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부정출혈 원인은? (0) | 2021.07.02 |
임신 준비, 난자 채취 이후 도움되는 영양제는? (0) | 2021.06.09 |
신선배아, 동결배아 차이가 무엇인가요? (0) | 2021.06.08 |
임신 준비, 시험관 시술 후에는 난소 염전을 조심! (0) | 2021.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