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수기는 분당제일여성병원 제6회 난임캠페인 난임 극복 수기 공모전에 참여해 주신 분의 수기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일부분은 블라인드 처리가 되었습니다.』

*위 이미지 내용의 이해 돕기 위해 삽입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이번에 분당제일 병원을 통해서
귀한 생명을 품게 된 산모입니다.
문자로 난임 극복수기공모전에 대한 정보를 듣고
저의 작은 경험들이 많은 난임 부부들에게 희망이 된다면
얼마나 좋을까 라는 생각으로 용기내어 글을 작성해 봅니다.
저는 한국나이로 만 40세의 여성입니다. 저는 결혼을 일찍 했어요.
26살, 약 14년 전 2007년에 했습니다. 정말 까마득한 옛날일 같네요..
그렇게 결혼을 하고 저와 남편은 공부를 하러 미국으로 떠나게 되었어요.
나이도 어리고 공부를 앞두고 있었기에
아이는 저희들에게 첫번째 소망은 아니었던것 같아요.
그리고 남편이 어려서부터 소아당뇨를 겪어왔기에
부모님들도 저희에게 직접적으로 바라시거나 강요하시지는 않았던것 같아요.
그렇게 저희는 20대의 후반에 나이에 열심히 타지에서 공부하고
취업을 하고 자리를 잡기 위해 애를 썼던 것 같아요..
그렇게 30대 초반이 되고 저는 지금쯤이면
아이를 가지면 딱 좋지 않을까?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여러가지 인터넷 정보들을 보면서
배란일 체크, 임신에 도움이 되는 운동, 식습관들을 남편과 공부하며
여러 차레 자연임신을 시도했지만 한번도 임신이 되지를 않았어요..
긍정적인 남편덕에.. 다 때가 있겠지.. 가장 좋은 때에 주실꺼야..
라고 서로를 위로하곤 했지만 언제부턴가.. 제 안에 걱정이 자리 잡았던 것 같아요..
내가 모르는 내 안에 문제점들이 있을까? 여러 난임의 원인들 중 대부분은
여자가 문제 라는게 나에게 문제가 있는 것일까? 라는 생각들이요..
그러나 안타깝게도 해외에선 난임 검사나 시스템이 너무 비싸고
일반적으로 치료를 받을 수 없는것이기 때문에
그냥 자연스럽게 임신이 되길 바라며
그렇게 하루하루 일상을 열심히 살았던 것 같아요..
그렇게 시간이 지나고 저도 일이 바빠져서..
열심히 일을 하며 시간을 보내던 때에..
남편이 어려서부터 좋지 않았던 몸이 결국 문제가 생겨..
결국 신장이식까지 해야 되는 상황이 생겼고.. 그 사이에 병원을 오고 가며..
힘든 일들을 가족도 친지도 없는 타지에서 오롯이 둘이 버텨야 되었어요..
그렇게 수년을 힘든 투병생활 끝에 너무 감사하게 이식수술을 하게 되고..
남편이 건강하게 회복되기까지.. 몇 년이 시간이 훌쩍 지나게 되었습니다..
전 이제 40이라는 나이에 가까이 되었고..
이젠 아이를 꿈꾸는 것도 너무 사치인 것 같고..
저희에겐 해당 상황이 되지 않다고 생각하던 때에..
주변에서 너무 건강해진 남편과 저를 보면서
난임시술에 대해서 권유를 하더라구요..
그래서 고민과 기도 끝에.. 미국에서 처음 시작을 하게 되었어요.
미국에서 비용이 많이 부담이 되었지만..
때를 놓치면 하고 싶어도 할 수 없다는 주변의 말들에..
용기를 내서 시작하게 되었지요..
다행히 둘다 큰 문제는 없고..
저도 생각보다 난소나이가 건강하게 나와서..
첫 배아채취 때 4개의 pgs 통과된 배아를 가지고 이식을 할수 있었어요..
그 과정이 결코 쉽다고는 말할 수는 없지만..
그래도 희망을 갖고 이런 시술을 받을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너무 기대가 컸던 때 였던 것 같아요..
그러나 3번의 연달아 실패를 통해서..
과정보다 결과를 듣는 과정이 너무 고통스러웠고
무엇보다 주변에서 관심을 갖고 결과를 기다리며
같이 슬퍼하고 저를 위로해주기 바쁜 가족들에게
언제부턴가는 이식을 하고 있다는 말도 하지 못하게 되었답니다..


'난임 극복 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난임 극복 수기] 많은 분들의 기도로 주님께서 주신 아이 (0) | 2025.03.07 |
---|---|
[난임 극복 수기] 따뜻한 말로 난임 극복을 도와주신 선생님께 감사드리며.. (0) | 2025.02.06 |
[난임 극복 수기] 친절하고 따뜻한 마음을 통해 위로와 힘을 얻게 해주신 선생님 (0) | 2025.01.09 |
[난임 극복 수기] 지켜야 할 새 생명을 위해 굳건한 마음을 가진 엄마가 되고자 늘 기도하며.. (0) | 2024.12.05 |
[난임 극복 수기] 임신 성공이라는 희망의 선물을 주신 선생님 (0) | 2024.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