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ERA 검사란?
ERA 검사는 자궁내막 수용성 분석 검사로, 배아를 받아들일 수 있는 최적의 타이밍을 찾기 위해 진행하는 검사인데요.
건강한 임신을 하기 위해서는 자궁내막의 수용성과 배아가 가장 중요한 요소이며, 질과 배아 상태가 우수하면서 자궁내막이 수용력을 갖출 경우에 안정적으로 배아가 착상되고, 임신이 성립되어 건강한 출산으로 이어질 수 있답니다.
하지만, 체외 수정(시험관 아기 시술) 시 질 좋고 좋은 등급의 배아를 이식했지만, 반복적 착상 실패를 겪으신 분들도 계실 텐데요.
여기서, 반복적 착상 실패란 등급과 질이 모두 좋은 배아를 2~3회가량 이식했지만 자궁내막에 온전하게 착상되지 못하는 상태를 의미하며, 만약 반복적 착상 실패를 지속적으로 겪었다면 ERA(자궁내막 수용성 검사) 검사가 필요해요.
따라서, ERA 검사는 환자 개개인의 착상 창을 정확히 분석하여 배아 이식의 최적 시기를 결정하는 데 도움을 준답니다.
2. ERA 검사 진행 절차
ERA 검사 진행 절차로는 크게 4단계의 순서로 진행되는데요.
1) 자궁내막 조직의 RNA 분석
2) 착상을 수용할 수 있는 상태인지 확인
3) 배아 이식에 적합한 시기 도출
4) 냉동배아 이식으로 임신 가능성 향상 기대
이러한 ERA 검사는 보통 동결 배아 이식을 전제로 하여 진행하고 있으며, 검사하는 월의 자궁내막 상태와 실제로 배아 이식을 하는 월의 자궁내막 상태가 동일할 것이라는 가정을 전체로 진행해요. 특히, 모든 반복적 착상 실패를 하신 난임 여성분들께서 ERA 검사를 통해 완벽하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반복적 착상 실패의 원인을 예측할 수 있는 검사를 통해 환자 맞춤형으로 보다 정밀한 솔루션이 확장된 것이라고 이해하시면 된답니다.
단, 자궁내막의 상태가 매달 같은 상태는 아니기 때문에 ERA 검사를 진행하는 시기와 동결 배아를 실제로 이식할 때 도출되는 결과에는 차이가 있을 수 있어요.
3. ERA 검사 필요성
ERA 검사는 반복적 착상 실패 경험이 있는 경우 무조건 해야 하는 건지 의문이 생기실 수 있는데요.
보조 생식술을 시도하고 계시는 난임 여성분들이 반드시 ERA 검사를 할 필요는 없어요. 하지만, 앞서 말씀드렸듯이 건강한 임신을 하기 위해서는 자궁내막의 수용성과 배아 상태 등 자궁 환경이 잘 갖춰졌는지가 중요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착상 실패를 겪으셨다면 ERA 검사를 통해 자궁내막 수용성 상태를 확인한 후에 임신 성공률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찾을 수 있답니다.
물론, 모든 난임 여성분들께서 건강한 배아 이식으로 한 번에 임신 성공이 가능하면 좋겠지만, 사실상 착상 수용이 가능한 시기에 다다르지 못했거나 이미 착상 일이 지났다면 반복적 착상 실패를 겪을 확률이 증가하기 때문에 난임 센터를 방문하여 ERA 검사를 실시할 수 있어요.
이러한 ERA 검사는 최적의 배아 이식 일을 알려주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답니다.
4. ERA 검사를 통한 효과
ERA 검사를 통한 효과로는 크게 2가지가 있는데요.
🔎 맞춤형 배아 이식으로 착상 성공률 증가
보통 배아 이식은 생리 주기에 맞춰 정해진 날짜에 진행되지만, 개인마다 착상 창(자궁내막은 항상 착상이 가능한 상태가 아니며, 배란 후 한 달에 4~5일만 착상이 되는 상태)이 다를 수 있어요. ERA 검사는 자궁내막이 배아를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있는지를 분석하여 맞춤형 이식 시기를 정할 수 있도록 도와준답니다.
🔎 불필요한 시술 횟수 감소, 경제적·심리적 부담 완화
체외 수정(시험관 아기 시술)에서 반복적 착상 실패가 될 경우에는 여러 차례 동안 배아 이식을 시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데요. 이러한 경우에는 개인의 경제적, 신체적, 심리적 스트레스를 증가시키는 요인이 돼요. 하지만, ERA 검사를 통해 정확한 착상 창을 파악하게 되면 불필요한 반복 이식을 줄이고, 성공 가능성이 높은 시기에 맞춰 한 번의 이식을 진행할 수 있답니다.
따라서, ERA 검사는 개인 맞춤형 배아 이식을 가능하게 하여 착상 성공률을 높이고, 불필요한 반복 시술을 줄이는 효과가 있어요.
5. ERA 검사 권장할 수 있는 대상
ERA 검사 (자궁내막 수용성 검사)를 권장할 수 있는 대상으로는 크게 2가지 유형이 있어요.
✅ 반복적 착상 실패 검사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원인 불명의 경우
✅ 배아의 질이 우수함에도 불구하고 반복적 착상 실패의 경우
만약, ERA 검사가 자궁내막의 착상 창 이 일반적인 시기보다 앞당겨지거나 늦춰지는 경우에 ERA 검사를 통해 개인별 착상 창을 정확히 확인하면, 맞춤형 배아 이식 일정 조정이 가능한데요. 그로 인해 불필요한 반복 이식을 줄이고 착상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답니다. 또한, 시험관 아기 시술에서 반복적 착상 실패는 가장 어려운 문제 중 하나로 손꼽히고 있으며 다양한 원인이 있을 수 있는데요. 보통 배아의 질이 우수하다면 임신 성공률이 높아야 하지만, 계속해서 착상에 실패하는 경우에는 자궁내막의 착상 환경이나 착상 타이밍이 문제일 가능성이 크답니다.
따라서, 반복적 착상 실패의 원인을 알 수 없거나 배아의 질이 우수함에도 착상 실패가 반복되는 경우에는 ERA 검사를 통해 자궁 내막의 착상 창을 확인하는 것이 필요해요.
'임신·난임 _ 닥터피셜 > 임신·난임 닥터피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란 여부, 황체 기능을 알기 위해 기초 체온 측정이 필요하다고요? (0) | 2025.05.02 |
---|---|
난임 남성들은 임신 준비 시 정자 활동성 검사를 하는 것이 필요해요! (0) | 2025.04.02 |
난임 시술이 필요할 경우를 대비해 정자 냉동을 할 수 있다고요? (0) | 2025.04.01 |
임신 준비 중 2~3개월 동안 남자 아연을 꾸준히 섭취해야 한다고요? (0) | 2025.03.05 |
시험관 아기 시술, 인공수정을 포함하는 보조생식술에 대해 알아봐요! (0) | 2025.03.04 |